1996년, 문민정부의 對 일본 문호 개방을 필두로 다양한 대중 문화가 꽃피며 단군 이래 가장 화려했던 시기로 꼽힌다. 또한 미국에 유학이나 이민을 갔던 사람들이 미국의 선진 문화를 들여와 압구정 오렌지족, 낑깡족, 감귤족 등 한국 문화에 다양성을 부가하기도 했다. 이에 아시아, 특히 대만, 홍콩, 한국은 새로운 문화의 수입처이자 수출국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런 움직임은 여러 활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큰 것이 오늘 살펴볼 마이클잭슨 내한이다.
마이클잭슨은 많은 사람들을 사랑하는 박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가 한국에 내한공연을 가지게 된 계기 중 하나도 한국이 분단국가라는 점이 컸었다. 또한 그의 성격은 소탈하기로 유명한데, 내한 공연 며칠 전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한 그는, 공연 당일 이전까지, 아니 당일 오전까지 그의 백댄서들과 호흡을 맞추며 지독한 시차를 이기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고는 이때 일어났으며, 그의 인생을 바꿀 엄청난 일이 일어나게 된다. 어렸을 때 부터 잭슨5를 통해 수많은 공연 경험을 가지며 그야말로 월드스타이자 공연의 神인 그였지만, 동아시아 끝부분에 위치한 한국에서 공연을 갖는다는 것은 뜻깊은 일이였기에 손끝 발끝에 혼을 담아 안무 연습을 하였다. 하지만 그런 그의 행동이 오히려 독이 되었는데, 그의 대표작 Thriller안무를 연습하던 중 그만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흰 장갑이 그의 손에서 벗어나 멀리 날아가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대 설치 공사가 한창이였고, 꽤나 멀리 날아간 것이기 때문에 빠듯한 시간에 맞추어 일정이 짜여진 틈을 비집고 장갑을 찾아 바닥을 뒤진다는 것은 그에게도 부담이 되었다. 이에 그의 머리 위에 있던 조명을 담당했던 인부는 그의 사정을 알게 된다. 그 인부는 마이클 잭슨에게 자신의 목장갑을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무래도 평소 팬이였던 인부의 입장에서는 그가 항상 소지하고 있는 목장갑을 마이클 잭슨에게 주게 된다는 사실이 평생의 술안주거리가 될것이라는 생각이 그의 머리를 스쳤다. 이윽고 중학교때부터 성문종합영어를 통해 갈고닦은 그의 영어 실력을 마침내 발휘하게 된다.
빨간 목장갑을 든 손과 함께 그가 내뱉은 한마디 "I give you this".(당신께 이 목장갑을 드리겠소) 하지만 마이클 잭슨이 장갑을 보며 말한 한마디 "I will give you back."(장갑, 내 꼭 돌려드리리다). 그렇지만 인부의 마음은 살짝 달랐다. 마이클 잭슨이 그저 자신의 목장갑을 끼고 춤을 추어준다는 사실이 감사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의 영어 실력은 이내 바닥나게 되었고, 답답한 마음에 한국어가 나오게 되었다. "빌리진 마시고 그냥 쓰세요." 이를 듣자 마이클 잭슨의 머리엔 수많은 생각이 스치게 된다. 하지만 그 생각들의 출구는 그 인부에게 감사하다는 마음이었다. 이 공연은 마이클 잭슨이 방한했다는 사실로만 기억되나, 마이클 잭슨 해당 공연을 통해 그의 곡 Billie Jean을 구성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가사에서 빌리진의 아이를 가지고 소유권 분쟁을 하는 것이 마치 목장갑을 빌려준 조명 인부와 장갑의 소유권을 가지고 대화를 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오히려 조명 인부가 아닌 마이클 잭슨이 한국에서 좋은 기억을 가지고 평생 술안주 거리(이때 술은 사케 준마이 다이긴조를 마셨다고 한다)로 삼았다고 한다.